사업을 운영하고 계시다면 매년 진행해야 할 것이 있죠? 바로 개인사업자 부가세 신고기간과 신고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부가가치세란?
▶ 부가가치세란 상품(재화)의 거래나 서비스(용역)의 제공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가가치(이윤)에 대하여 과세하는 세금이며, 사업자가 납부하는 부가가치세는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을 차감하여 계산합니다.
부가가치세 = 매출세액 - 매입세액
- 부가가치세는 물건값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최종 소비자가 부담하는 것이며, 사업자는 최종 소비자가 부담한 부가가치세를 세무서에 납부하는 것입니다.
- 그러므로 부가가치세 과세대상 사업자는 상품을 판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할 때 거래금액에 일정금액의 부가가치세를 징수하여 납부해야 합니다.
■ 부가가치세 납세의무자
▶ 영리목적의 유무에 불구하고 사업상 상품(재화)의 판매나 서비스(용역)를 제공하는 모든 사업자는 부가가치세를 신고·납부할 의무가 있습니다.
- 다만, 미가공식료품 등 생필품 판매, 의료·교육 관련 용역 제공 등 법령에 열거된 규정에 따라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사업만을 영위하는 경우에는 부가가치세 신고·납부 의무가 없습니다.
■ 일반과세자 & 간이과세자
▶ 일반과세자
- 일반과세자는 10%의 세율이 적용되는 반면, 물건 등을 구입하면서 받은 매입세금계산서상의 세액을 전액 공제받을 수 있고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습니다.
- 연간 매출액이 8천만 원 이상으로 예상되거나, 간이과세가 배제되는 업종 또는 지역에서 사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반과세자로 등록하여야 합니다.
▶ 간이과세자
- 간이과세자는 1.5%~4%의 낮은 세율이 적용되지만, 매입액(공급대가)의 0.5%만 공제받을 수 있으며, 신규사업자 또는 직전연도 매출액이 4천8백만원 미만인 사업자는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없습니다.
- 주로 소비자를 상대하는 업종으로서 연간 매출액이 8천만원(과세유흥장소 및 부동산 임대업 사업자는 4천8백만 원)에 미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소규모 사업자의 경우에는 간이과세자로 등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과세기간 및 신고납부
▶ 부가가치세는 6개월을 과세기간으로 하여 신고·납부하게 되며 각 과세기간을 다시 3개월로 나누어 중간에 예정신고기간을 두고 있습니다.
과세기간 | 과세대상기간 | 신고납부기간 | 신고대상자 | |
제1기 01. 01 ~ 06. 30 |
예정신고 | 01. 01 ~ 03. 31 | 04. 01 ~ 04. 25 | 법인사업자 |
확정신고 | 01. 01 ~ 06. 30 | 07. 01 ~ 07. 25 | 법인.개인 일반사업자 | |
제2기 07. 01 ~ 12.31 |
예정신고 | 07. 01 ~ 09. 30 | 10. 01 ~ 10. 25 | 법인사업자 |
확정신고 | 07. 01 ~ 12.31 | 다음해 01. 01 ~ 01. 25 |
법인.개인 일반사업자 |
※ 일반적인 경우 법인사업자는 1년에 4회, 개인사업자는 2회 신고
- 개인 일반사업자와 소규모 법인사업자(직전 과세기간 공급가액의 합계액이 1억 5천만 원 미만)는 직전 과세기간(6개월) 납부세액의 50%를 예정고지서(4월·10월)에 의해 납부(예정신고의무 없음)하여야 하고, 예정 고지된 세액은 다음 확정신고 시 기납부세액으로 차감됩니다.
- 예정고지 대상자라도 휴업 또는 사업 부진으로 인하여 사업실적이 악화되거나 조기환급을 받고자 하는 경우 예정신고를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예정고지는 취소됩니다.
※ 간이과세자는 1년을 과세기간으로 하여 신고·납부하게 됩니다.
과세기간 | 신고납부기간 |
01. 01 ~ 12. 31 | 다음해 01. 01 ~ 01. 25 |
- 다만, 7월 1일 기준 과세유형전환 사업자(간이->일반)와 예정부과기간(01. 01 ~ 06. 30)에 세금계산서를 발급한 간이과세자는 01. 01 ~ 06. 30을 과세기간으로 하여 07.25까지 신고·납부하여야 합니다.
[해외구매대행] 세금 완벽정리! 간이과세자 부가세 신고
■ 부가가치세 사업자 구분
구 분 | 기준금액 | 세액 계산 |
일반과세자 | 연간 매출액 8,000만원 이상 | 매출세액(매출액의 10%) - 매입세액 = 납부세액 |
간이과세자 | 연간 매출액 8,000만원 미만 | (매출액*업종별 부가가치율*10%) - 공제새액 =납부세액 * 공제세액 = 매입액(공급대가) * 0.5% |
개인사업자의 부가세 신고방법은 직접할 경우, 홈택스를 이용하여 부가가치세 신고를 하시면 됩니다.
일반 과세자, 간이과세자 등 정기 신고(확정 / 예정) 클릭하여 진행하시고 사업자용 카드, 현금영수증, 전자세금계산서, 신용카드 매출 등 자동 입력되기 때문에 미리 등록하여 관리하면 쉽게 신고하실 수 있습니다.
'정~가네 주부의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SS 앱으로 모바일 신분증 발급(주민등록증과 운전면허증을 스마트폰으로) (0) | 2022.11.22 |
---|---|
운전면허증 분실신고, 재발급 방법 (0) | 2022.11.21 |
연말정산 편리하고 똑똑하게 준비하세요. (0) | 2022.10.27 |
수능 전.. 최상의 컨디션 관리 꿀 tip! (0) | 2022.10.23 |
지나영 교수님의 마음처방 (0) | 2022.10.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