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우리나라 경사를 기념하기 위하여 국가에서 법률로 정한 5대 국경일 중( 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 한글날에 대해 알아보아요. 10월 9일 한글날이 일요일이라 10일인 월요일이 대체공휴일로 지정되었어요. 2주 연속 월요일이 쉬는 날이라 직장인 분들에게는 좋은 소식입니다. 한글날에 대해 잘 알고 계신 분들도 계시지만 아이들이 갑자기 물어보면 어떻게 얘기를 해줘야 할지 당황할 때가 있으셨죠? 자세히 모르시는 분들도 계시니 함께 알아보도록 해요.
1. 정의
국어기본법 제20조(한글날) ① 정부는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을 국내외에 널리 알리고 범국민적 한글 사랑 의식을 높이기 위하여 매년 10월 9일 한글날로 정하고 기념행사를 한다.
② 제 1항에 따른 기념행사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한글날은 훈민정음의 반포를 기념하여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을 널리 알리고 한글 사랑 의식을 높이기 위한 기념일로 매년 10월 9일에 기념한다. 2022년 현재 법정 공휴일이며 5대 국경일이기에 태극기를 게양해야 한다.
2. 유래
훈민정음은 세종대왕 25년 곧 서기 433년에 완성하여 3년 동안의 시험을 거쳐 세종 28년인 서기 1446년에 세상에 반포되었다. 한글은 자연발생적으로 생긴 것이 아니라 세종대왕이 주도하여 창의적으로 만든 문자인데 지극히 과학적이고 합리적이어서 세계 문자 역사상 그 짝을 찾을 수가 없다. 한글만큼 우수한 문자가 또 없다는 것을 세계가 모두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한글의 창제로 말미암아 우리는 문자가 없어서 남의 글자인 한자를 빌려다가 우리말을 중국말 문법에 맞추어 쓰던 불편을 벗어버리고 자유롭게 표현을 할 수 있게 되었고 따라서 오늘날과 같은 문화, 경제, 정치 등 각 분야에 걸친 발전을 이루어 세계 우수한 나라들과 어깨를 겨루게 되었다.
3. 역사
처음으로 한글날 기념식을 제정한 것은 우리가 일제강점기에 있던 1926년의 일이다. 현 한글학회의 전신인 조선어연구회와 신민사의 공동 주최로 식도원이라는 요릿집에서 수백 명이 참가한 가운데 당시로서는 성대하게 열렸다. 11월 4일에 기념식이 열린 까닭은 조선왕조실록에 훈민 정읍 관련 기사가 1446년 9월 말(29일)에 실렸기 때문이다. 당시 우리가 일제에 국권을 빼앗기고 억압에 눌려서 위축되어 있던 때라 민족정신을 되살리고 북돋우기 위하여 한글날을 제정하여 기념하기로 했던 것이다. 음력 9월 마지막 날인 29일을 한글날로 정한 것은 '이 달에 훈민정음이 이루어지다'라고 한 기록을 근거로 한 것이며, 이름을 가갸날이라 한 것은 그때 아직 한글이라는 말이 보편화하지 않았고 한글을 가갸거겨~ 나냐너녀~ 하는 식으로 배울 때였기 때문이다. 가갸날을 한글날로 이름을 바꾼 해는 1928년이었다.
세계 문자 가운데 한글, 즉 훈민정음은 흔히들 신비로운 문자라 부르곤 합니다. 그것은 세계문자 가운데 유일하게 한글만이 그것을 만든 사람과 반포일을 알며, 글자를 만든 원리까지 알기 때문입니다. 세계에 이런 문자는 없습니다. 그래서 한글은 정확히 말해 [훈민정음 해례본](국보 70호)은 진즉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한글'이라는 이름은 1910년대 초에 주시경 선생을 비롯한 한글학자들이 쓰기 시작한 것입니다.
여기서 '한'이란 크다는 것을 뜻하니, 한글은 '큰 글'을 말한다고 하겠습니다.
출처 : 지식백과
'정~가네 주부의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준비와 유의사항 (1) | 2022.10.07 |
---|---|
할로윈 데이 (0) | 2022.10.06 |
갤럭시 핸드폰 카메라 소리 끄기 및 무음 설정 방법 (0) | 2022.10.04 |
중1 아들 속옷 구매 후기 (0) | 2022.09.28 |
K7 자동차 리모컨 건전지 교체 (1) | 2022.09.25 |
댓글